| 16 | 국민대통합 정책연구협의회 이슈보고서(제11호) | 국민대통합 정책연구협의회 | 
			
				| 제1장 대-중소기업 근로자 간의 격차분석 및 정책과제
중소기업연구원 노민선......................................05
 
 제2장 인구고령화, 빈곤진입률, 그리고 노령층의 취업정책
 한국경제연구원 윤상호......................................60
 
					
						
						이슈보고서 11호 내지.pdf(929KB)
 | 
			
		
			
				| 15 | 국민대통합 정책연구협의회 이슈보고서(제10호) | 국민대통합 정책연구협의회 | 
			
				| 제1장 역사적 관점에서 조망한 미국의 이주민 정책 변화과정 및 정책적 시사점
한국행정연구원 정동재......................................07
 
 제2장 유럽 주요국의 이주민 밀집지역 정책 : 독일 베를린과 프랑스 파리 사례를 중심으로
 IOM이민정책연구원 오정은......................................55
 
 제3장 MIPEX로 본 유럽 이주민 정책 변화
 숙명여대 다문화통합연구소장 윤광일......................................98
 
					
						
						이슈보고서 10호.pdf(2,597KB)
 | 
			
		
			
				| 14 | 국민대통합 정책연구협의회 이슈보고서(제9호) | 국민대통합 정책연구협의회 | 
			
				| 제1장 북한이탈주민 정착실태와 시사점
북한인권정보센터 윤여상......................................07
 
 제2장 탈북민과 트라우마 탈북과정의 인권침해 경험과 트라우마 치료지원정책
 통일연구원 이상신......................................55
 
 제3장 북한이탈주민과 일반 국민의 사회심리적 통합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윤인진......................................86
 
					
						
						이슈보고서 9호 0810.pdf(1,691KB)
 | 
			
		
			
				| 13 | 국민대통합 정책연구협의회 이슈보고서(제8호) | 국민대통합 정책연구협의회 | 
			
				| 제1장 방임아동의 사회적 보호를 위한 정책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류정희..................................07
 
 제2장 장애아동의 사회적 포용을 위한 문화예술정책
 서울대 사회발전연구소 정병은..................................55
 
 제3장 한부모가족의 경제적 취약성과 사회적 포용: 정책현황과 과제
 건국대학교 정이윤..................................98
 
 제4장 취약계층을 위한 근로장려세제의 개선방안 모색
 한국경제연구원 윤상호..................................144
 
					
						
						정책연구협의회 이슈보고서 8호(최종).pdf(1,713KB)
 | 
			
		
			
				| 12 | 국민대통합 정책연구협의회 이슈보고서(제7호) | 국민대통합 정책연구협의회 | 
			
				| 제1장 국민통합을 위한 사회 이동성 증진 정책현황 및 과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김기헌··············································· 07
 
 제2장 사회적 이동성에 관한 국가 간 비교 분석
 가톨릭대학교 백승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해식··························· 46
 
					
						
						정책연구협의회 이슈보고서(제7호).pdf(1,158KB)
 | 
			
		
			
				| 11 | 국민통합 이슈모니터링(제7호) | 국민대통합위원회 | 
			
				| 국민통합 이슈모니터링 제7호입니다. 
이번 보고서에는 "사회의 질과 국민통합"에 대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Ⅰ. 개요 ············································································1
 Ⅱ. 사회의 질 개념과 유형화 ··········································2
 1. 사회의 질(Social Quality)이 왜 중요한가 ················2
 2. 사회의 질 개념과 국제 동향 ·········································6
 3. 사회의 질 모델과 구성요소 ·············································8
 Ⅲ. 사회의 질 지표의 국제비교 ···································15
 1. 복지안전망 지표 조사 ·················································15
 2. 회복탄력성 지표 조사 ·················································19
 3. 사회적 응집성 지표 조사 ············································23
 4. 정치적 역능성 지표 조사 ··············································26
 5. OECD 국가 사회의 질 비교 ······································29
 Ⅳ. 사회의 질과 국민통합 ············································35
 1. 사회의 질 지표 구성요소 간 관계 분석 ·····················35
 2. 사회의 질과 국민통합 관련 지표의 관계 분석 ··········41
 Ⅴ. 정책적 시사점 ························································48
 1. 사회의 질 실태와 문제점 ··········································48
 2. 사회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과제 ······························49
 
 상세내용은 첨부 참조
 
					
						
						국민통합이슈모니터링(제7호)_최종.pdf(1,516KB)
 | 
			
		
			
				| 10 | 국민통합 이슈모니터링(제6호) | 국민대통합위원회 | 
			
				| 국민통합 이슈모니터링 제6호입니다.
이번 보고서에는 "세계 주요국의 국민통합 정책과 제도 : 공공갈등관리방안"에 대한 자료가 수록되어 있습니다.
 
					
						
						국민통합이슈모니터링(제6호).pdf(849KB)
 | 
			
		
			
				| 9 | 국민통합 이슈모니터링(제1호) | 국민대통합위원회 | 
			
				| 국민통합 이슈모니터링(제1호)입니다.
이번 호에서는 "한국사회의 공공성과 통합가치"를 주제로 다양한 통계자료와 관련지표들을 검토하고,
 국민통합에 필요한 정책적 함의를 찾고자 했습니다.
 
					
						
						국민대통합 정책연구협의회 이슈모니터링(제1호).pdf(1,261KB)
 | 
			
		
			
				| 8 | 국민통합 이슈모니터링(제2호) | 국민대통합위원회 | 
			
				| 국민통합 이슈모니터링(제2호)입니다.
이번 호에서는 "2014년도 상반기 주요 사회이슈 분석"을 주제로 다양한 통계자료와 관련지표들을 검토하고,
 국민통합에 필요한 정책적 함의를 찾고자 했습니다.
 
					
						
						국민대통합 정책연구협의회 이슈모니터링(제2호).pdf(2,206KB)
 | 
			
		
			
				| 7 | 국민통합 이슈모니터링(제3호) | 국민대통합위원회 | 
			
				| 국민통합 이슈모니터링(제3호)입니다.
이번 호는 "한국인의 행복과 삶의 질"이란 주제로 국내외 각종 통계자료와 관련지표들을 검토하고,
 국민통합과 국민행복 제고에 필요한 정책적 함의를 찾고자 했습니다.
 
					
						
						국민대통합 정책연구협의회 이슈모니터링(제3호).pdf(1,435KB)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