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누적되어온 사회갈등 및 균열 요인으로 인하여 최근 사회갈등 양상이 복잡다단하게 전재괴고 있다. 따라서 사회갈등의 순기능과 역기능을 차분하게 천착하면서 역기능의 사회갈등이 확산되는 것을 제어해야 하는 시점이다. 이를 위해 대안적 갈등관리방법을 생활화하고, 정부정책갈등 예방 및 관리의 교본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안내서는 갈등예방과 관리 프로세스로 구분되며, 갈등예방프로세스는 정책입안초기에 적용된다. 갈등관리프로세스는 정부가 갈등당사자일 경우에는 협상프로세스를, 갈등관리자일 경우에는 조정프로세스를 활용하는 것을 권한다.
<목차>
1. 서론
1) 안내서 작성배경
2) 갈등유형별 활용방법
2. 갈등예방 매뉴얼
1) 일반적 절차
2) 갈등영향평가
3) 이해당사자 참여
4) 합의절차, 규칙결정
5) 참여적 갈등관리기법 활용
3. 갈등관리 매뉴얼
1) 일반적 절차
2) 협상
3) 조정프로세스
4) 사실확인
5) 조정적 중재
6) 중재
7) 갈등해결 후 사후관리
8) 갈등관리절차의 적용방법 |